회사가 줄 수 있는 보상은 무엇이 있고(What)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How)
1) 보상 설계 준비운동
- 우리 회사 보상의 총합은?
※ 보상은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으로 나뉨
▶ 외재적 보상: 실제 외부로 부터 경험할 수 있는 보상
▶ 내재적 보상: 물질이나 교육등 구성원 스스로 느낄수 있는 보상의 영역 / 조직문화, 근무환경과 연결 되어있기 때문에 잘 파악하고 있어야 우리회사 강점으로 활용가능 -> 핏에 맞는 인재 채용가능
오늘은 직접보상과 변동급 보상 즉, 성과금 파트에 대해서...
2) 보상수단과 설계
- 보상의 구조
- 고정급 임금 항목 구성 등
▶ 통상입금의 개념 구성원의 근로에따라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시급, 일급, 주급, 월급 등을 의미
▶ 포괄임금의 경우 회사 상황에 맞게 정하면 됨.
- 기본금 페이 밴드 구성
▶ 페이밴드란? 기본금을 어떻게 구성할지 페이밴드로 풀어내는 것.
▶ 우리 조직의 보상 기준을 어느 기준에 맞춰서 잡을지 기준
▶ 1. 경쟁사의 수준 / 2. 직무별 평균 임금. 이 2가지를 적절히 섞어 구성하는 것이 중요.
▶ 예를들어, 우리회사 매출과 운영에 제품 MD가 중요하다면 MD 직무에 많은 포션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무조건 적으로 타회사와 비교하는것이 아님)
- 변동급: 인센티브 (숏텀 / 롱텀)
후지급!!! 방식이 가장 리스크가 적음
선지급>
샤이닝보너스 약정서를 작성할때 반환기간을 꼭 작성하도록 이때, 반환기간은 마지막 근무기간까지 회사로 반환하도록!
마지막 근무기간까지 반환받지 못할 경우 퇴직면 진행시 연장 동의서를 받아두는것이 가장 좋음
원천신고서, 건강/고용보험 보수총액 수정, 또 해가 넘어가면 연말정산 지급명세서까지 수정해야 하니 환수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유의해서 운영할 것.
'인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 HR]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온보딩 프로세스는 어떻게 만들까? (0) | 2022.08.20 |
---|---|
[인사강의] 성장 단계에 따른 HR(인사팀)&업무 셋업하기 (0) | 202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