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급여

4대보험 취득 실무 프로세스 (EDI를 이용한 신고방법)

반응형

(1) 월보수액

월보수액은 비과세 항목을 제외한 (대표적 식대) 금액으로 신고.

(※월보수액 = 보수총액 =급여(비과세제외) 모두 같은 의미로 공단마다 지칭하는 단어의 차이)

 

(2) 각 보험별 부과율

구분 국민연금 건강(장기요양) 고용 산재
요율
(보수월액기준)
근로자: 4.5%
사업주: 4.5%
[건강보험료]
근로자 : 3.545%
사업주 : 3.545%

[장기요양보험료]
근로자 : 12.81%
사업주 : 12.81%
근로자: 0.9%
사업주: 1.15%
사업주 100%부담

 

(3) 신규입사자 보험료 부과기준

신규입사자는 입사 첫달에는 4대보험료가 부과되지 않고, 입사 둘째달 귀속 급여에 2개월치 보험료가 부과.

입사 3개월차에 정상화 된다.

 

  • 국민연금: 입사 다음달부터 부과(취득월 납부미희망 기본적용) 
  • 건강(장기요양): 입사 다음달부터 부과
  • 고용/산재: 입사달부터 일할계산되어 입사 다음달 2개월치 부과
  • 단, 1일 입사자의 경우 4대보험 모두 입사 첫달에 부과됨.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인사팀 신입으로 4대보험 취득 인수인계 받을 당시에 국민연금은 납부희망으로 알려주셔서 나는 이게 기본값인줄 알았다.. 그러다가 타부서에 새로 입사하신 팀장님께서 연금은 취득월납부미희망 인줄 알았는데 내는거였다면 미리 안내가 되었으면 좋았겠다는 피드백을 주셨다. 피드백받고 디벨롭 하는걸 좋아하는 성격이라 바로 팀원분과 알아보고 입사안내서류와 온보딩에 취득월 미희망으로 반영하였다는 이야기..ㅎㅎ 

 

(4) EDI신고

https://edi.nhis.or.kr/homeapp/wep/m/retrieveMain.xx

 

국민건강보험 EDI

* 보안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프로그램 사용이 필요한 경우 체크박스를 선택하세요. PC 방화벽 프로그램 선택 설치 키보드보안 프로그램 선택 설치(보다편리한 업무를

edi.nhis.or.kr

 

공인인증서 로그인> 전체서식> 자격취득 신고

 

구분 확인서류 주의사항
소득월액 근로계약서상 월급여 비과세 제외
취득월 근로계약서상 입사일 -
국민연금 취득월납부여부 "2.부" -
건강보험 피부양자 가족관계증명서 입사서류 제출시 신청여부 확인
1주 소정근로시간 40시간 8시간*5일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관계에 따라서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해야한다. 소득이나 결혼등의 요건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양자 대상자의 기준으로 발급받은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하다. 이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뤄보려고 한다. 내용이 많아 아래 포스팅에 따로 정리해두었다. 

 

2023.05.25 - [인사급여]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요건과 EDI신고방법

 

또 여담으로 1주 소정근로시간의 경우 우리회사는 점심시간이 1시간 30분이라 하루 7.5시간 X 5일= 37.5시간이 소정근로시간이다. 이런경우 반올림하여 38시간으로 입력한다(EDI시스템에서 10의자리수만 입력되기 때문).

 

EDI 취득 신고 화면

이렇게 되면 EDI 신고절차가 완료된다.

 

(5) EDI 신고 확인방법

EDI 사이트 홈 중간에 보면 보낸문서함> 전체보기> 사업장(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신고서를 클릭하면 확인가능하다. 연금/건강/고용/산재 칸별로 파란색 1이 떠있으면 취득신고 완료. 빨간색으로 기우림꼴 1이 떠있다면 주민번호 오류나 무언가 오류가 났으니 공단에 확인 전화가 필요하다.

 

 

나의 경우 취득 반려처리가 되기전 대부분 공단에서 먼저 확인 전화가 왔고, 경험상 연금이 취득과 상실 모두 간단/쉬워서 가장 빠르게 처리가 된다. 단연코 말하건데 4대보험 관련 업무 중에 취득업무가 제에에에일 난이도 "하"이다 😂 

 

<취득신고 당시 가장 실수가 잦았던건>

- 보수월액에 식대 제외한 과세 급여만 넣기❗

- 주민번호, 이름 오타 (고용의 경우에는 그냥 신고가 된다... 이게 왜 취득 되게 만든건지 모르겠지만 EDI에서 수정 불가능하고 고용산재토탈 사이트에서만 수정가능하니 신고전 기본 인적사항은 한번더 더블체크!)

- 보수월액금액이나 입사일을 입력하면 연금/건강/고용/산재 쭈르륵 따라서 자동 입력되어 앞에 내용을 수정하면 뒤에 것도 같이 수정해줘야 한다.

- 또 이상하게 첫번째 금액은 먹히는 경우가 종종있어 예를들어 보수총액이 2,800,000원이면 800,000원으로 쳐진다. 이러면 연금/건강/고용/산재 전부 800,000으로 자동 입력되어서 하나씩 2,800,000원으로 수정이 필요하다. 깜박하고 연금 보수월액만 수정하고 신고하면.. 역시나 건강/고용/산재는 보수월액 수정신고가 필요해 번거로워진다. 그 번거로움.. 나도 알고싶지 않았다... 😅

 

예전에는 다 팩스로 하다가 글래와서 전산의 발달로 EDI로 수정신고가 가능한 것들이 하나씩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전산의 발달 정말 감사하다 감사해 더 빠르게 진행해죠..!

 

늘 그렇듯이 4대보험은 취득이든 상실이든 신고라는 행위자체가 들어가면 수정하기가 여간 번거로운게 아니다..
한번 신고할때 주민번호, 월 보수총액 입사일 등 잘 보고 신고하자!

 

※ 아직 23년 메뉴얼은 나오지 않은것 같고 22년 EDI 실무가이드를 참고차 첨부한다. 왠만한 내용은 가이드 안에서 찾아볼수 있다. 

건강보험 2022년 EDI 실무가이드.pdf
7.47MB

 

 

 

다음은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과 대망의 4대보험 상실 신고 포스팅을 올릴예정 입니다🌝

반응형